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0

세계관이 필요하다 1. 자신만의 세계관 성공한 사람들은 자신만의 세계관이 있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들입니다. 부자든 명예자든 자기만의 세계관을 설정하고 그것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는 사람이 성공합니다. 이것은 보고서의 표를 만드는 과정과도 동일하다고 생각합니다. 리포트를 쓰기 위해 표의 형태를 상상하고 그것을 채우는 과정에서 어느새 표가 완성됩니다. 이 그림을 채우기 위해 적극적인 상상과 빈칸을 채우기 위한 노력이 더해지면서 표가 완성됩니다. 이렇게 자기만의 세계관을 만들고, 그 표를 채우기 위해 상상하고 노력하고 몸부림치다 보면 굼벵이가 매미가 되듯, 애벌레가 나비 되듯, 우화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그 표 자체를 상상하지 못하거나 안 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아마도 영원히 그 표는 만들지 못한다. 그 표는 세.. 2023. 1. 27.
물은 아래로 흐르고 정보는 위로 흐른다 1. 높은 산에 오르면 보는 풍경도 달라지고 만나는 사람도 달라진다. 등산을 할 때 정상에 오르면 눈에 보이는 풍경도 달라지고 기분도 달라집니다. 마찬가지로, 조직에서도 높은 직위에 오르게 되면 만나는 사람의 종류가 달라지고 그에 따라 생각도, 판단도 이전과 달라지게 됩니다. 가령 내가 기관장이 된다면 어울리는 사람들이 타 기관 기관장들입니다. 내가 대통령이라면 장차관들과 어울릴 것이고, 내가 본부장이라면 다른 본부장이나 타 기관 본부장급 직위를 가진 사람과 어울릴 일이 많아집니다. 2. 물은 아래로 흐르고 정보는 위로 흐른다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데, 이것은 만고불변의 진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정보는 아래에서 위로 흐르는데, 이것 역시 만고불변의 진리입니다. 특히 직위가 올라가면 다양한 경.. 2023. 1. 27.
잘 노는 사람이 성공할 거라는 착각 1. 개미와 배짱이 현대 버전 이솝우화에 나오는 '개미와 배짱이' 이야기는 누구나 알고 있습니다. 겨울이 되자 열심히 일한 개미는 배부르고 등따숩건만 배짱이는 얼어 죽는다는 이야기입니다. 개미와 배짱이 현대판에서는 다양한 버전들이 있지만, 그중 대표적인 버전은 배짱이는 놀면서도 예술가로 성공하여 반대로 훨씬 더 배부르고 따듯하게 산다는 이야기입니다. 2. 미래는 근면한 사람이 아니라 놀아본 사람이 성공한다고? 어느 순간부터 근면, 성실하라는 이야기가 구태의연한 이야기가 되어 버렸습니다. 우리 사회에서 과거 주입식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창의적인 인재, 뭔가 남다른 인재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던 때부터 아닌가 싶습니다. 성실한 사람, 착한(순진한) 사람, 내성적인(수줍어하는) 사람은 이제 3대 악.. 2023. 1. 27.
맛있는 인생 1. 인생의 번 아웃(burn-out) 우리 삶에서 번아웃은 왜 오는 것일까요? 그리고 우울증은 왜 오는 것일까요? 이것은 유전적인 것이라서 어쩔 수가 없는 질병 같은 것일까요? 아니면 노력으로 극복이 가능할까요? 만약 원인이 내가 노력하기에 따라 바꿀 수 있는 것이라면 모르지만 내가 바꿀 수 없는 환경이나 타인 때문이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원래 비관적인 사람이 있는가 하면, 다양한 일을 겪다 보니 스트레스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비관적인 사람이 되기도 합니다. 나는 이것을 '맛을 잃었다'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선천적으로 맛을 못 느끼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맛을 느낄만한 능력은 있습니다. 타고난 성향을 바꾸기는 어렵지만, 적어도 자기 삶을 사는 낙이나 사는 맛 정도는 느낄 수 있었으면 합니다... 2023. 1.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