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0 내가 속독을 멈춘 이유 1. 속독을 배운 경험 속독은 사실 그냥 거저 얻은 기술은 아닙니다. 원래는 영어 속독 수업을 들었지만 그게 가능했던 것은 배울 때 뿐이었고 이후에 남은 능력은 사실 원래 잘하던 한글 속독 뿐이었습니다. 사실 한글 속독은 내가 평소에도 무의식적으로 하던 것이었습니다. 다만 배움을 통해 무의식적으로 하던 것을 의식적으로 하게 된 차이일 뿐이었다고 생각됩니다. 사실 다른 사람보다 빨리 읽는다는 것은 굉장한 쾌감을 줍니다. 그러나 이 능력도 책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되고, 에너지 소모도 많기 때문에 지속해서 하기는 어려움이 따릅니다. 당연히 쉬운 책은 더 빠르고, 어려운 책은 더 느리다. 속독에도 종류가 많겠지만 내가 하는 것은 번개 치기니 하는 대각선으로 하는 방식이 아니고 포토리딩, 페이지 전체를 한 번.. 2023. 1. 26. 수퍼 히어로의 조건 1.나는 비행기 타는 것을 좋아한다. 비행기가 이륙해서 구름 위를 날 때 낮은 곳을 내려다보면 내가 사는 세상이 그렇게 좁아보일 수 없고 인간들은 너무 작아서 보이지도 않으며 그리 높아보이던 빌딩이며 차들도 좁쌀만하게만 보입니다. 이때 나는 마치 수퍼 히어로가 된 기분이 듭니다. 반대로 가장 싫어하는 순간은 비행기가 착륙하는 순간입니다. 좁쌀만해서 별 것 아닌 것 같던 세상이 고도가 낮아질 수록 점점 커져서 결국 내가 고생하며 마주쳐야 하는 현실세계가 됩니다. 비행기 바퀴가 땅에 닿는 순간부터 이제 나는 다시 평범한 한낱 개미에 불과합니다. 2. 벗어날 수 없는 현실과 개인 능력의 한계 요즘 처세에 관한 책들을 살펴보면 메인 스트림은 크게 두가지인 것 같습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열심히 해라", "매.. 2023. 1. 26. 좋은 스승 밑에 좋은 제자 없다 1. 물론 좋은 스승에게서 배우는 것은 중요하다 우리가 대학원에 진학하는 이유는 논문을 쓰는 방법을 배우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학원생들은 논문을 쓰기 위해 다양한 문헌을 찾고, 논리를 전개하고, 가설을 증명하는 등의 일련의 과정을 대학원 수업을 통하여 배우고, 연습하고 연마하게 됩니다. 그러나 수업을 다 듣는다고 해서 일반 학생이 갑자기 대가가 될 수 있느냐 하면 전혀 그렇지가 못합니다. 글을 쓰는 과정이 눈 앞에 투명하게 보인다면 굉장히 좋을텐데, 실상은 개인의 머릿 속에서 이뤄지기에 내 눈앞에서 대가가 글을 쓰는 모습을 본다고 해도, 실상 나의 글쓰기에는 별로 도움이 안될 것입니다. 그래서 대학원은 대부분 도제시스템을 채용하고 있습니다. 장기간 지도 교수의 지도 편달을 받으면서 글쓰기를 연마하.. 2023. 1. 15. 일을 잘하기 위한 방법 1. 일을 잘하는 두 가지 방법 제가 생각할 때 일을 잘하는 방법은 다음의 두 가지 방법 뿐입니다. 첫째, 한 번에 잘하는 것이고, 둘째, 미리 해서 시행착오를 수정할 시간을 버는 것 입니다. 너무 당연한 이야기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막상 이렇게 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성공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사실 누구에게나 당연한 일에서 아이디어를 얻어서 성공한 사람들이 많습니다. 성공할 수 있는 자료는 주변에 널려 있다는 식으로 말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런데 하루 하루가 바쁘고 정신없이 지나가기만 하는 일반인들 입장에서 이런 말들은 조금 어이가 없는 말이기도 합니다. 한두가지 일도 잘하기가 정말 쉽지 않습니다. 그런데 어떤 사람들은 여러가지 일을 잘하는 사람도 많습니다. 작은 차이가 명품을 만든.. 2023. 1. 15. 이전 1 2 3 4 5 다음